조상제사에 대한 한국 천주교의 가르침
축문이란 제사를 받드는 자손이 제사를 받는 에게 제사의 와 정성스러운 감회를 표하며 간략하나마 마련한 제수를 권하는 글입니다. 살아계신 어른에게 새로운 음식을 올릴 때 권하는 말씀을 올리는 것처럼 조상에게도 를 올리면서 그 연유를 고하고자 축문을 쓰고 고합니다. 축문을 쓰는 과정은 과 으로 이루어지는데, 작축은 축의 내용을 짓는 것이고 수축은 종이에 축문을 쓰는 것입니다. 축문의 내용은 그 제사를 지내게 된 연유를 언제 누가 누구에게 무슨 일로 무엇을의 형식으로 고하고 제사를 받으시라는 줄거리로 이루어집니다.
과거에 을 모실 때는 라 하여 일이 있을 때마다. 축문을 작성해서 조상에 고했기 때문에 기제사의 경우에는 추모하는 뜻만 기록했었다.
축문 해설
지금부터 아버지 제사 때의 축문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. 이제라는 입니다. 해의 차례가 이어 온다는 뜻입니다. 는 이해의 차례는으로 축문의 첫머리에 쓰는 입니다. 제사 지내는 해의 입니다. 즉, 의 입니다. 삼월신유삭 제사지내는 달과 제사지내는 달 1일의 입니다. 1월은 정월로 합니다. 일설에 으로 제사지내는 달을 쓰고 그 달의 월건을 써야 한다고 합니다. 월건이란 60월에 한번 돌아오는 그 달의 고유 입니다.
초오일을축 제사지내는 날짜와 제사지내는 날짜의 입니다. 는 에 맏아들이라는 뜻이고 이 는 맏이 효 로 제사를 지낼 권리와 의무가 있다는 뜻입니다.
축문 쓰는 법
축문 공통서식 용지 백색 한지를 너비 24cm16cm 정도 적절한 길이로 잘라서 씁니다. 필구 먹물에 붓에 찍어 씁니다. 붓펜으로 사용가능 서식 가능하면 위에서 아래로 다음과 같이 내려쓴다 첫 차례 줄은 비운다. 이제를 위에서 3자 여건에서 써서 축문의 기준으로 삼는다. 연호의 단군 첫 자를 자보다. 2자 높여서 쓰기 시작합니다. 제사 대상을 나타내는 첫 자인 자는 자보다.
1자 높여서 쓰기 시작합니다. ”檀”자보 다는 1자 낮아진다. 축문의 끝자인 ”饗(흠향)”자는 ”顯”자와 같은 높이로 씁니다. 축문의 끝에 1줄을 백지로 비워둔다. 다. 쓴 축문의 측판에 얹어서 향안의 서쪽 위에 올려놓는다.
제사에 투입하는 말
의 제례행사는 계속 전승할 예쁜 일로서, 요새 일반가정에서 대신 영정을 모셔놓고 에 이어 한문 축문 대신 한글 축문을 고하거나 로 하는 예가 많은데 굳이 탓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. 끝으로 부연할 것은 일부 문중에서 제사를 높인다고 제향, 시향, 향사라 호칭함은 과대표현이라 봅니다. 원래 은 나라의 큰 제사를 뜻하는 것인데 각 문중에서 이를 수용하여 보편화된 것이므로 에서는 제사, 시제, 기제, 묘제등으로 표현함이 타당하다고 봅니다.
그 외에 축 아니면 을 으로 표기함도 잘못입니다. 대축이라 함은 나라의 종묘 아니면 문묘 성균관 향교 大成殿의 제향시 축관의 우두머리를 말합니다.
자주 묻는 질문
축문 해설
지금부터 아버지 제사 때의 축문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.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.
축문 쓰는 법
축문 공통서식 용지 백색 한지를 너비 24cm16cm 정도 적절한 길이로 잘라서 씁니다.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제사에 투입하는 말
의 제례행사는 계속 전승할 예쁜 일로서, 요새 일반가정에서 대신 영정을 모셔놓고 에 이어 한문 축문 대신 한글 축문을 고하거나 로 하는 예가 많은데 굳이 탓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.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